새소식

컴퓨터 활용 팁/여러가지 팁

오토핫키로 모니터 외부입력을 컴퓨터로 변경해보자.

  • -

하나의 모니터에 컴퓨터 여러대 혹은 콘솔을 연결한 경우 하나하나 모니터의 외부입력 버튼을 눌러서 변경하기가 귀찮다.

 

외부입력을 선택해주는 하드웨어 기기 (KVM스위치) 라던가,고급 모니터에서 리모콘으로 지원해주지않는 이상 피곤한것이다.

 

나는 우분투,윈도우 OS 2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때가 있는데 듀얼 모니터를 하자니 목이 아파서 정면 한개의 모니터로 활용하고싶었다.

 

제일 좋은것은 비싼 KVM 스위치등을 활용하는것이지만 60hz주사율이 발목을 잡았다. 모니터가 165hz주사율 지원모니터라 아쉽기도하고

 

잡설은 그만하고 하는법을 배워보자.

 

 

 

1. 일단 자신의 모니터가 DDC/CI 를 지원하는지 알아야한다.

 

https://www.entechtaiwan.com/util/moninfo.shtm 에 접속하여 Monitor Asset Manager 2.9를 설치해서 

 

DDC/CI  Supported 인지 확인한다. 확인한후 프로그램은 지워도 된다.

 

지원이되지않으면 KVM 스위치를 알아보자.

 

지원이 되는 모니터이다.

 

 

 

2. 오토핫키 설치후 다운받은 MonitorChange 스크립트 실행하기.

 

https://www.autohotkey.com/                                                                여기서 오토핫키를 다운받고 버젼은 아마 상관없을것이다. 나는 1.1버젼을 받았다.

https://drive.google.com/file/d/1E7aNn_duCwMo-kRixkP0vJ38-EZRw6nf/view     MonitorChange 스크립트 다운링크.

 

 

백신이 바이러스로 오진하는 경우가 많다. 예외등록을 해주자.

백신마다 예외등록방법은 틀리니까 구글링으로 잘해결한다.

많이 사용하게 되니까 일시적으로 백신을 꺼두는것은 의미가없다.

 

 

3. MonitorChange 스크립트 실행후 쉬프트+윈도우키+Y 키를 동시에 눌러준다. 그러면 화면 가운데에 숫자가 나온다. 나는 15번이 나왔다. 기억해준다.

 

윈도우OS 컴퓨터 : 15

 

그리고 이제 바꾸고싶은 화면을 띄운후 (예 : 콘솔이거나 다른 컴퓨터) 똑같이 쉬프트+윈도우+Y 키를 동시에 눌른후 아무것도 누르지말고 

 

다시 외부입력을 원래 컴퓨터로 바꾸면 아까랑은 다른 모니터 번호가 나올것이다.  그것을 기억해둔다.

 

간단히 바꾸고싶은 콘솔이나 보조컴퓨터 : 3 (예시로 : 3)

 

스크립트를 마우스 오른쪽클릭해서 메모장 혹은 텍스트 편집기같은걸로 열어서 편집을 한다.  *오토핫키 종료후 해야함*

 

하단에 이부분을 찾은후에 적혀있는 숫자를 바꿔주자.  파란색부분의 숫자를 3 으로 바꾼다.

 

그리고 저장한다.

 

#X::
a := getMonitorInputSource()
 if(a == 15)
      setMonitorInputSource(18)
  else
      setMonitorInputSource(15)
return

 

 

 

4. 실행해보기.

 

 

편집하여 저장한 MonitorChange 스크립트를 더블클릭하여 실행한후 윈도우+X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변환이 잘되는지 확인하자.

 

잘된다면 성공. 하지만 문제가 있다. 재변경을 하는경우이다. 

 

재변경의 경우 콘솔 사용시 컴퓨터는 켜져있을것이고 , 콘솔은 전용패드로 조작하니까 재변경하는데 문제가 없다. 단점은 컴퓨터를 켜놔야한다는것.

 

하지만 서로 다른 컴퓨터인 경우에는 문제가있다. 키보드 마우스를 전환하여 사용해야한다.

 

키보드는 직결+블루투스 ,  마우스는 블루투스+2.4Gz 모드로 변경이 쉬운편이다. 혹은 값싼 KM스위치를 사용한다. 

 

 

 

 

 

5. 컴퓨터 시작시 자동으로 MonitorChange 스크립트가 실행되게 만들기.

 

구글링을 하면 어마어마하게 많은 자료가있다. 

쉬우니까 잘해결하자!

 

 

참조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me_nintendo&no=1088623

 

=============================================================================================

 

여기서 부터는 추가팁이다.

 

보통은 위에 상황에서 만족하여 쓰게된다.

 

하지만 오토핫키가 여러가지 문제상황에 봉착할수있다고 판단했다.

 

오토핫키를 계속 켜둬야하고 은행백신에 걸리기도 하고 온라인게임 백신에 걸리기도 한다.

 

게이밍 마우스에 매크로 기능을 활용하여 오토핫키가 계속 실행중으로 사용하지않고 1회만 실행한후 종료되게 만들어볼것이다.

 

마우스 보조키들을 잘 안쓰는경우에 넣어두면 좋다.

 

게이밍 마우스 매크로 기능중에 버튼을 누를경우 프로그램을 실행 하는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다.

 

이게 하드웨어적으로 저장하는 경우가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저장하는 경우가 있다. 

 

소프트웨어적일경우 게이밍 마우스에서 지원하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켜놓아야한다.

 

 

 

MonitorChange 스크립트를 메모장으로 열은후 하단에 

 

+#L::
reload
return
    
#IfWinActive
+#Y::
a := getMonitorInputSource()
MsgBox,%a%
return

#X:: 

 

이 부분을 지워준다.

 

맨아래줄에 exitapp를 적어준다.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고 종료. (원본은 살려놓자. 문제생길경우 백업필수)

 

이제 다른이름으로 저장한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외부입력을 하여 설정했던 화면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오토핫키는 자동으로 종료. 

 

잘된다면 스크립트를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서 exe 파일로 컴파일한후 마우스 보조버튼 매크로 기능에 넣어주면 끝이다.

 

exe파일도 마찬가지로 바이러스 오진하는 경우가 많으니까 예외등록을 하자.

 

추가팁은 끝났고,

 

다들 잘활용하여 모니터에 붙은 외부입력 버튼으로 손이 안가는 편안한 게이밍 생활을 즐기시길 바란다.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